DevOps

DevOps/Cloud_클라우드

[AWS] EC2와 Lightsail의 차이점

AWS는 애플리케이션 호스팅을 위한 Amazon EC2 및 Lighstail을 제공한다.EC2에는 여러 서비스가 혼합되어 있으며 단일 아키텍처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개별 기능을 가지고 있다. EC2 인스턴스는 소규모 내지 복잡한 아키텍처에 적합하다.반면, Lighsail은 AWS에서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 제품이다. Lighsatil은 소규모 내지 중간 규모의 워크로드에 더 적합하다. 항상 애플리케이션 요구 사항에 따라 올바른 아키텍처를 선택해야하는데,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사항이 있다. 다음은 Amazon EC2와 Lightsail 간의 주요 차이점이다. EC2와 Lightsail 주요 차이점  EC2EC2는 Elastic Compute Cloud..

DevOps/Cloud_클라우드

[AWS] EC2 인스턴스(가상머신) 시작/생성

AWS 계정을 생성하면 12개월동안 월별 750시간의 프리티어가 제공되어 개인적으로 학습하기에는 안성맞춤이었다.aws 홈페이지에 아마존 튜토리얼 페이지 (실습 자습서) 가 있어 쉽게 따라할 수 있고, 이를 참고하여 복습 겸 작성하였다.로그인을 하면 첫 페이지가 나타난다.  미리 익숙해질 겸 바뀐 버전으로 진행해보기로 했다.하단 솔루션 구축 위젯에 가상 머신 시작 이라는 버튼이 있다.(*EC2 로 자동 선택됨)본인은 EC2로 진행했지만 aws 튜토리얼에서는 Amazon Lightsatil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무엇이 다른건가?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으로 작성해보겠다. Amazon EC2와 Amazon Lightsail의 차이점https://cwpack0730.tistory.com/16 [AWS] E..

DevOps/Cloud_클라우드

[AWS] 라이트세일, 인공지능 홈페이지 만들기

라이트세일, Lightsail아마존 라이트세일은 AWS를 가장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이다.라이트세일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어떠한 서비스든 간에, 빠르게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 (가상 머신, SSD 기반 스토리지, 데이터 전송, DNS 관리, 고정 IP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사용자는 이러한 서비스를 저렴하고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인스턴스를 관리하기에도 간단하다.)라이트세일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시작하는 작은 가상 서버 서비스로만 이해하기 쉽지만, 로드 밸런서를 통해 대용량 설계가 가능하며, RDS, S3 등 다른 AWS의 요소들과 연결을 통한 확장이 가능한 서비스이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구축실습 아키텍처~ 실습 요약 ~AWS 라이트세일 접속라이트세일 인스턴스 생성라이트세..

DevOps/Linux_리눅스

[Linux] repo 설정 (yum repository)

레포지토리 설정yum repository는 패키지를 모아놓은 저장소이다.rpm 형태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의존관계가 있는 프로그램들을 각각 설치해야 한다.하지만 yum을 이용하면 패키지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추가로 해당 지역 내에서만 돌아가는 저장소인 Loacl yum repository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폐쇄망에 구축하여 보안에 신경쓰는 경우라 할 수 있다.) repository를 생성하는 대략적인 순서이다. 이를 하나씩 분석해보겠다.  .refo file 생성yum config-manager --add-repo={url}해당 명령어를 수행하면서 넣은 URL주소로 repo파일이 자동으로 만들어진다./etc/yum.repo.d/ 경로의 @@.repo 의 확장자..

DevOps/Linux_리눅스

[Linux] nmcli/nmtui

NetworkManager는 네트워크 설정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데몬이다./etc/sysconfig/network-script 디렉터리 하위의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을 참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nmcli/nmtui 명령어는 NetworkManager를 CLI(콘솔)/GUI로 제어하고, 현재 네트워크 디바이스(인터페이스)및 커넥션의 상태를 알려주는 명령어이다.nmcli 네트워크 설정nmcli con : 이름, 장치명, UUID등 정보 출력nmcli con up [장치명] : 장치 활성화nmcli con down [장치명] : 장치 비활성화nmcli con add [장치명] : 네트워크 연결 추가nmcli con mod : 설정 값 수정nmcli con con 명령어로 수정하는 내용은 해당 디렉터리 내 ..

DevOps/Linux_리눅스

[Linux] 네트워크 설정 검사

기본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현재 네트워크 설정을 테스트 및 확인을 진행하였다. IP 명령 사용 방법ip 명령어는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는 최소 설치 버전에서도 내장되어 있는 명령어이다.ip 명령의 구문은 다음과 같다. ip [OPTIONS] OBJECT {COMMAND | help}OBJECT는 관리할 개체 유형이다. 자주 사용되는 개체는 다음과 같다.link (l)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표시/수정address (a) = IP 주소를 표시/수정route (r) = 라우팅 테이블을 표시/수정Neigh(n) = 인접 개체를 표시/조작(ARP 테이블) 객체는 전체 혹은 약어(짧은) 형태로 작성할 수 있다.(각 객체에 대한 명령, 목록등을 표시하러면 IP OBJECT 도움말을 입력한다.)네트워크..

DevOps/Linux_리눅스

[Linux] Root 비밀번호 초기화

*요약*# GURB 환경에서 부팅될 커널 e로 편집 진입linux... 라인 끝 rd.break 추가ctrl+x# 재부팅 후mount -o rw,remount /sysrootchroot /sysrootpasswdtouch /.autorelabelexitexit   Rocky Linux로 Root 비밀번호 초기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1. 시스템 재부팅시스템 재부팅을 통해 GRUB(응급모드,emergency mode) 화면에 진입한다.GRUB에서 패스워드 초기화가 필요한 항목으로 이동 후 e키를 눌러 항목을 편집한다. 2. rd.break 모드에서 root 암호 복구root 패스워드를 잃어 버렸을 경우 응급 모드로 진입해도 암호를 모르므로 복구가 불가능하다.이 때, grub 부팅 옵션에 부팅 프로세스의 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