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발생 Linux에서 Github를 사용하다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원인 해당 오류는 2021년 8월 이후로 git pull을 진행할 때 ID/Password 방식이 아닌 token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password가 아닌 token값을 입력해야 한다. 해결방법 0. Github에 로그인한다.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
리눅스 서버의 운영체제에 접속하기 위해 대부분은 SSH(Secure Shell)을 사용한다. 하지만 서버가 인터넷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이렇게 SSH 서비스 접속을 허용하는 것은 꽤나 큰 위험이 된다. 이 때 가장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요구하는 안전한 인증수단인 OTP이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서버 운영체제에 안전한 인증수단인 OTP, 그 중에서도 Free하게 사용 가능한 구글 OTP를 적용하는과정을 실습하겠다. Ubuntu Linux에 구글 OTP 모듈 설치하기 당연히 Google Authenticator은 root 계정의 권한으로 설치해야 한다. 구글 OTP를 사용하여 접속할 계정에서 Google Authenticator 설정 이 단계를 진행하기 이전에 반드..
EBS(Elastic Block Store)는 EC2 인스턴스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저장 장치이다. EBS는 EC2 인스턴스에서 제공하는 기본 용량보다 더 사용해야 할 때 운영체제를 중단시키지 않고 용량을 자유롭게 늘리고 싶을 때 영구적인 데이터 보관이 필요할 때 RAID 등의 고급 기능이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 **프리 티어에서 사용 가능** EBS는 프리 티어에서 무료로 사용가능 하다. 30GB 스토리지, 2백만 I/O 및 1GB 스냅샷 스토리지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EBS는 EC2에 설치된 OS에서 그냥 일반적인 하드디스크 또는 SSD 처럼 인식된다. 원하는 크기로 만들 수 있고 성능(IOPS)또한, 원하는 수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삭제하기 전까지는 데이터가 안전..
리눅스(Linux)는 멀티유저(다중사용자)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 사용자를 추가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사용자 계정 생성 (useradd, adduser) useradd와 adduser 명령으로 사용자를 생성할 수 있다. adduser 명령으로 좀 더 쉽게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고 useradd 명령으로 좀 더 간결하게도 사용 가능하다. root 권한이 있는 유저만 해당 명령어들을 사용 가능하다. # user 생성 및 설정 useradd chanwoo # user 생성 및 추가 그룹 설정 usermod -G manager chanwoo # user 생성 및 추가 그룹 다수 설정 usermod -aG manager chanwoo # user 계정..
문제발생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push를 진행하려는데 에러가 발생하였다. 원인 리포지토리 내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어, 기존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있어 push를 막은 것이다. 내 경우에는 README 파일이 존재하여 발생하였다. 해결방법 $ git push origin +master 해당 명령으로 강제 push를 진행하여 해결하였다. (이 경우 기존 리포지토리 내 데이터가 사라질 수 있다.) 혹은, 리포지토리 내 데이터를 불러온 뒤 push하는 방법이 있다. $ git init #깃 초기화 $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계정명/리포지토리명 #원격 저장소 연결 $ git pull origin master 이후 push 진행...
깃 허브(Git Hub)는 동일 프로젝트 정보에 대한 여러 버전 관리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이다. 오늘은 예전 본인이 진행한 유니티 프로젝트 하나를 깃허브 설정을 통해 관리하는 방법을 진행해보겠다. github repository 생성 깃허브에 로그인 후 새로운 리포지토리(원격저장소)를 생성한다. 리포지토리 이름과 설명,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본인은 Private를 선택하여 비공개로 진행하였다.) 해당 리포지토리 내에 README, .gitignore 파일 생성 여부를 선택 가능하다. .gitignote 파일은 리포지토리에서 관리할 필요가 없는 파일을 필터링 역할을 한다. (즉, 해당 파일에 등록된 파일은 업로드 대상에서 제외되어 push되지 않는다.) .gitignote를 Unity로 ..
1. 문제 발생git pull origin master를 입력했더니 에러가 발생하였다.$ git pull origin masterfatal: couldn’t remote ref master 2. 원인Github의 기본 생성 브렌치 이름이 입력한 이름과 달라서 발생하였다. 즉, $ git pull origin master 에서 master가 아닌 main으로 명령을 진행했어야 했다. 3. 해결 방법확인한 브렌치의 name으로 pull 명령을 다시 진행하거나, 리포지토리에서 브렌치 name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브렌치 페이지에서 좌측 수정 아이콘을 선택한다. 이름을 변경한 뒤 Rename branch를 선택한다. 수정 후 메인 페이지로 이동한 뒤 , ok를 선택한다. 적용이 완료되었다.
1. 문제 발생git bash를 이용하여 github에 유니티 프로젝트를 올리는 중 에러 메세지가 발생하였다.$ git push origin mainTo https:///github.com/chanW-pack/soo_project.git ! [rejected] main -> main (fetch first)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chanW-pack/soo_project.git'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remote contains work that you dohint: not have locally. This is usually caused by another reposit..
버전관리버전 관리란 시간에 따라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기록하는 것이다.버전 관리는 파일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snapshot을 찍고, 필요한 것을 복구하거나 다양한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이로 인해 개발자 간의 협업을 위해 개발 소스를 공유하며 파트를 나누어 작업할 수 있다. Gitgit은 클라우드가 아닌 본인의 로컬 시스템에 설치되고 관리된다.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기록하는 것을 도와주는 분산 버전 관리를 지원하며코드 충돌을 방지하고 변경사항을 추적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또한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등의 작업도 가능하다. 그러나 개인적인 공간(로컬 저장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타인이 실시간으로 내가 작업하는 내용을 알 수 없다. Githubgithub는 Git을 이용하여 협업 및 프로젝트..
작년 server NIC 증설 작업이 있었다. 작업 이후 본딩 및 티밍 작업이 있었는데 당시 경험을 살려 복습해보려 한다.- 티밍 (Teaming) : Windows 서버 LAN카드 이중화 기술- 본딩 (Bonding) : Linux 서버 LAN카드 이중화 기술 우선 Windows 환경에서 티밍에 대해 구성해보겠다. 서버 티밍 (teaming)티밍은 네트워크 포트 2개를 한개처럼 묶어서 대역폭을 늘려주고 이중화로 안정성까지 더해주는 역할을 해준다.(Linux에서의 Bonding과 같은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하면 Windows 서버 랜카드를 이중화하는 기술로, 여러개의 서버 LAN 카드를 하나로 묶는 구성이다.💡 네트워크의 LACP 기술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서버는 Active로 통신을 하다가..
리전 (지역)말 그대로 지리적 위치를 뜻한다.(아마존 웹 서비스들의 서버가 어디에 위치 하는가?)내가 서비스 하려는 지역의 주 고객들이 거주하는 지역과 서버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느려진다.(웹 사이트를 운영한다고 하면 내 사이트를 이용하는 고객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중요)즉 주 고객들이 거주하고 있는 곳과 가까운 리전을 사용하는 것이 당연히 좋다.최소한 2개 이상의 가용영역(AZ) 으로 구성된다.추가적인 설명은 하단 가용영역(AZ)에서 참고 ※ TIPAWS는 지역에 따라 똑같은 상품을 쓴다고 해도 가격이 다를 수 있다고 한다.즉, 어떤 리전이 가격이 얼마인가도 고려사항이 될 수 있다.현재 내 컴퓨터를 통해 어떤 리전을 선택할 때 유리한지 측정해볼 수도 있다.다음 사이트 접속 - 하단 [ HTTP P..
각 Linux 인스턴스는 기본 Linux 시스템 사용자 계정으로 시작된다. 기본 사용자 이름은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지정된 AMI에 의해 결정된다. Amazon Linux 2 또는 Amazon Linux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ec2-user입니다. CentOS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centos 또는 ec2-user입니다. Debian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admin입니다. Fedora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fedora 또는 ec2-user입니다. RHEL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ec2-user 또는 root입니다. SUSE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ec2-user 또는 root입니다. Ubuntu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ubuntu입니다. Oracle AMI의 ..